오늘은 2024 KBO FA 등급 및 보상선수, 보상금 규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FA 제도
FA(Free Agent) 제도 FA 자격요건을 갖춘 선수에게 모든 구단과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제도입니다.
FA 자격요건을 갖춘 선수는 어느 구단이든지 자유롭게 영입 가능하며 다년 계약 및 계약금 지급이 가능합니다.
FA 자격요건을 갖춘 선수가 타팀으로 이적 시 영입 구단은 보상 규정에 맞춰 원 소속팀에게 보상해야 합니다.
FA 자격요건
현재 KBO 리그에서 FA 자격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8 정규시즌을 충족해야 합니다.
FA 자격요건을 위한 정규시즌 충족을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.
- 정규시즌의 현역선수 등록일수가 145일 이상인 경우
- 2006년 이전 입단 타자 : 정규시즌 경기 수의 2/3 이상 출장
- 2006년 이전 입단 투수 : 정규시즌 규정이닝의 2/3 이상 투구
최초 FA 권리를 행사한 후 자격을 재취득하는 선수의 경우에는 4 정규시즌을 충족하면 됩니다.
FA 등급제
FA 자격요건을 갖추고 FA 권리를 행사한 선수들은 아래 조건에 따라 A~C 등급으로 분류됩니다.
등급 | FA 자격 최초 취득 | FA 자격 재취득 |
A 등급 | ● 구단 내 연봉 순위 1~3위 ● 리그 전체 연봉 순위 1~30위 |
● 해당없음 |
B 등급 | ● 구단 내 연봉 순위 4~10위 ● 리그 전체 연봉 순위 31~60위 |
● 직전 FA에서 A~B 등급 |
C 등급 | ● 구단 내 연봉 순위 11위~ ● 리그 전체 연봉 순위 61위~ ● 만 35세 이상 |
● 직전 FA에서 C 등급 ● 세 번째 FA 이상 |
등급 분류 시 연봉은 옵션 수령액을 포함하며, 최근 3년간의 평균으로 계산합니다.
FA 등급별 보상 제도
FA 선수가 타팀으로 이적 시 영입 구단이 원 소속팀에 보상해야 하는 보상선수, 보상금은
해당 선수의 등급과 전년도 연봉에 따라 아래 FA 등급별 보상규정 을 따릅니다.
등급 | FA 자격 최초 취득 |
A 등급 | ● 전년도 연봉 200% + 보호선수 20인 외 선수 1명 ● 전년도 연봉 300% |
B 등급 | ● 전년도 연봉 100% + 보호선수 25인 외 선수 1명 ● 전년도 연봉 200% |
C 등급 | ● 전년도 연봉 150% (보상선수 없음) |
원 소속팀은 이적한 FA 선수 등급에 따라 보상받을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A~B 등급의 경우 당연히 보호선수 명단을 확인 후 결정할 수 있습니다.
FA 등급제, 보상 제도의 영향
B등급 이상의 고연봉 수령 선수를 타팀에서 영입하기가 쉽지 않아집니다.
이 경우 큰 금액의 보상금과 선수 1명까지 원 소속팀에 보상해야 할 수 있습니다.
A등급의 경우 보호선수는 20명, B등급의 경우 25명까지 지정할 수 있는데,
KBO 1군 엔트리 인원이 28명입니다.
1군 엔트리에 있는 선수를 다 묶어두지 못 함은 당연하고,
2군에서 열심히 육성중인 팀내 핵심 유망주까지 생각하면
보호선수 20, 25명은 구단 입장에서 굉장히 부담스럽다고 볼 수 있습니다.
특히 대어급의 선수들 보다 고액 연봉이면서 나이가 많거나, 대어급이라고 보기에 애매한 선수들이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.
'야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속보] 오타니 쇼헤이 LA 다저스행 - 10년 총액 7억 달러 (0) | 2023.12.10 |
---|---|
2024 MLB FA - 오타니 쇼헤이 (0) | 2023.12.09 |
김하성 폭행 사건 연루 - 후배 야구선수 고소 (0) | 2023.12.07 |
2024 KBO FA 선수 분석 - 이지영(키움 히어로즈) (0) | 2023.12.06 |
2024 KBO FA 선수 분석 - 김선빈(KIA 타이거즈) (0) | 2023.12.05 |